사이버추모관

커뮤니티

홍보실

[국제신문] “장기기증운동 30년…민관언 거버넌스 구축해야” 강치영 한국장기기증협회장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88회 작성일 21-10-19 13:53

본문

- 1992년부터 기관 설립 등 외길
- “시스템·기증자 예우 매우 미흡”

171f70ee3e2c31bd677dbb333b574825_1634619110_6812.jpg
1992년 우리나라에 장기기증에 대한 법률이나 관련 기관이 전무한 것은 물론, 인식조차 낮았던 시절 부산에서 장기기증운동을 확산하기 위해 지역 의료계와 종교계 학계 인사들이 뭉쳤다. ‘살아있는 슈바이처’로 불리며 약자를 위해 의술을 펼친 고 장기려 박사를 명예회장으로 당시 ‘사랑의 장기기증운동 부산본부’가 출범했다. 이후 사단법인 한국장기기증협회로 이름을 바꿔 지금까지 30년간 장기 및 인체조직 기증에 대한 사회적 관심 제고와 생명나눔 문화 확산을 위해 노력해왔다. 협회는 장기기증 관련 지방에 있는 기관 중 보건복지부 법인 설립 인가를 받은 유일한 단체다. 장기기증운동 선두에서 외길을 걸어온 강치영 한국장기기증협회 회장을 27일 만났다. 


강 회장은“최근 장기기증학회에서 전국 7대 도시 시민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장기기증에 대한 인식 및 관심도 설문조사를 한 결과, 부산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며 “이는 지난 30년간 각종 캠페인과 홍보 등에 매진한 데 대해 시민이 호응한 것으로 뿌듯했다”고 소감을 밝혔다. 특히 출범 30주년을 맞은 올해 부신시 민관협치 공모사업에 선정돼 시민과 부산시, 시민단체가 함께하는 각종 행사와 활동을 전개할 수 있어 더욱 의미가 크다. 지난 5월에는 전국 최초 장기기증 시민홍보단을 발족한 데 이어 6월에는 국회와 함께 전국 7대 도시 시민 대상 인식 및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다양한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달에는 장기기증의 날(9월 9일) 기념식을 계기로 더욱 활발히 홍보행사와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 다음 달에는 뇌사 기증자의 숭고한 실천을 기억하고 예우하는 행사인 ‘장기기증 힐링캠프’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 행사에서는 박형준 부산시장이 지역 내 기증자 이름을 한 명 한 명 부르며 지역사회가 그들을 기억하고 있으며 감사하는 마음을 전달하고 유족을 초대해 위로 격려한다. 내년 3월에는 부산 강서구 명지동에 들어서는 3층 규모 부산종합안전체험관에 장기기증 체험 테마 공간이 문을 연다.

강 회장은 “지금도 매일 6명가량이 장기기증을 받지 못해 사망하고 있다.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 지 20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관련 시스템과 기증자에 대한 예우는 부족하다”며 “장기기증 문화가 정착하기 위해서는 정부 지자체 언론계 시민사회단체가 함께하는 거버넌스체제 구축을 비롯해 법 제도 개선, 기증자 예우에 관한 법률 구비 등이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유럽이나 아메리카 등에는 장기기증 허브도시가 있지만 아시아에는 아직 없다. 부산은 의료관광도시이자 나눔과 생명의 도시다. 장기 과제로 부산에 아시아장기기증센터를 유치하고 장기기증의 허브도시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강 회장은 이외에도 2000년부터 사랑의 인공신장실을 열어 경제적으로 어려운 만성신부전 환우를 위해 투석치료를 지원하고 무료급식을 실시해 2002년 부산시 자랑스러운 시민상을 받기도 했다. 2008년에는 만성신부전 환우를 위한 무료생활시설인 ㈔사랑의 쉼터를 개소했다. 2015년 한국장기기증학회를 설립했으며 현재 학회 운영위원장을 맡고 있다. 조민희 기자 core@kookje.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